2025 주거급여 온라인 신청 방법!(조건 및 필요 서류)

2025 주거급여 온라인 신청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그에 필요한 조건 및 필요 서류까지 이 글만 보면 습득할 수 있으니 5분만 집중해 주세요! 주거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지원해 주고 있는데요. 새해부터 새롭게 달라진 부분이 있으니 참고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025 주거급여 신청 조건

주거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소득 및 재산에 대한 기준이 맞아야 가능한데 다행히 가족의 소득과는 관계 없이 신청한 본인 가구의 소득과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인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작년에 비해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었기 때문에 좀 더 넓은 범위로 혜택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구 수기준중위 소득
1인 가구1,148,166원
2인 가구1,887,675원
3인 가구2,412,169원
4인 가구2,926,932원
5인 가구3,411,932원
6인 가구3,871,106원

신청 혜택

만약에 조건에 해당되어 신청하게 될 경우 임차가구, 자가가구로 구분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월세를 내며 사는 가구에게는 주거비로 지원되고, 자가를 소유한 경우는 집 수리 비용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1) 임차 가구

물론 사는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금은 다르지만 서울 기준 1인 가구는 최대 35만 2천원, 4인은 최대 54만 5천원을 지원 받습니다.

구분1급지(서울)2급지(경기/인천)3급지(광역/세종시/수도권 외 특례시)4급지(그외 지역)
1인가구352,000원281,000원228,000원191,000원
2인가구395,000원314,000원254,000원215,000원
3인가구470,000원375,000원302,000원256,000원
4인가구545,000원433,000원351,000원297,000원
5인가구564,000원448,000원363,000원307,000원
6인가구667,000원531,000원428,000원363,000원

2) 자가 가구

자가가 있는 분들 중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집 수리비용으로 지원금이 나오는데요. 대규모 수리일 경우 최대 금액이 1,000만원대로 높아집니다.

  • 경보수(3년) : 590만원
  • 중보수(5년) : 1,098만원
  • 대보수(7년) : 1,601만원

주거급여 온라인 신청 방법

주거 급여 신청은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가능하며 오프라인 신청 시 신분증과 필수 서류들을 지참하여 거주지 근처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의 경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필요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소득 증빙 서류, 임대차 계약서(or 집 문서)]와 개인적으로 추가할 서류를 신청 단계에서 첨부 제출하면 됩니다.

주거급여 신청 FAQ

대리 신청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어렵다면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을 함께 지참하여 대리인이 주거 급여를 신청하면 됩니다.

올해 주거 급여 중위소득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 기준 48% 이하여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어떤 혜택이 있나요?

월세에 사는 경우 주거비를, 자가인 경우 수리 비용에 대해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내용

📍월세 환급금 조회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

2025 주거급여 온라인 신청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을 눌러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338

이 게시물은 구독자의 반응이 좋은 글입니다. 함께 평가해 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